본문 바로가기

언어장애 진단 검사 도구 종류와 특성

asnormal 2025. 1. 13.

1. 언어검사의 기본 원리

표준화 검사의 특성

  •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 규준 집단과의 비교 가능
  • 객관적 점수 산출
  • 결과의 일관성 보장

검사 실시의 기본 원칙

  • 검사 환경의 통제
  • 지시문의 표준화된 제시
  • 반응 기록의 정확성
  • 채점의 객관성 유지

2.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평가(K-M-B CDI)

  • 대상연령: 8-36개월
  • 평가영역: 제스처, 표현어휘, 이해어휘, 문법
  • 특징: 부모보고 형식
  • 활용: 조기 선별 및 중재 계획 수립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 대상연령: 4-35개월
  • 평가영역: 수용언어, 표현언어
  • 특징: 부모면담과 직접관찰 병행
  • 활용: 발달지연 선별

3. 아동 언어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 대상연령: 2-6세
  • 평가영역: 수용언어, 표현언어
  • 특징: 그림자료 활용
  • 활용: 언어발달지연 진단

구문의미이해력검사(KOSECT)

  • 대상연령: 3-8세
  • 평가영역: 구문이해, 의미이해
  • 특징: 문장 수준의 이해력 평가
  • 활용: 구문의미 발달 수준 파악

아동언어검사(KNISE-PLAN)

  • 대상연령: 5-12세
  • 평가영역: 음운, 의미, 구문, 화용
  • 특징: 포괄적 언어능력 평가
  • 활용: 학령기 언어장애 진단

4. 성인 언어검사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K-WAB)

  • 대상: 성인 실어증 환자
  • 평가영역: 스스로 말하기, 알아듣기, 따라말하기, 이름대기
  • 특징: 실어증 지수 산출
  • 활용: 실어증 유형 분류 및 중증도 평가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BNT)

  • 대상: 청소년 및 성인
  • 평가영역: 이름대기 능력
  • 특징: 60개의 흑백선화 그림 사용
  • 활용: 이름대기 장애 평가

5. 특수 영역별 검사

우리말 조음음운평가(U-TAP)

  • 대상연령: 2-12세
  • 평가영역: 조음음운능력
  • 특징: 단어 및 문장 수준 평가
  • 활용: 조음음운장애 진단

언어문제해결력검사(TOPS)

  • 대상연령: 8-16세
  • 평가영역: 언어적 문제해결능력
  • 특징: 고차원적 언어능력 평가
  • 활용: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

6. 선별검사와 심화검사

선별검사의 특성

  • 간단하고 신속한 실시
  • 위험군 식별 목적
  • 제한된 평가영역
  • 후속 평가 필요성 결정

심화검사의 특성

  • 포괄적이고 상세한 평가
  • 정확한 진단 목적
  • 다양한 평가영역 포함
  • 중재 계획 수립 근거 제공

7. 비공식 평가 방법

자발화 분석

  • 발화 표본 수집 방법
  • 분석 지표 선정
  • 결과 해석 방법
  • 임상적 활용

관찰 평가

  • 행동 관찰 체크리스트
  • 의사소통 기능 평가
  • 상황별 수행력 관찰
  • 중재 효과 모니터링

결론

언어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 도구의 특성을 이해하고, 대상자의 연령과 장애 특성에 적합한 검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준화된 검사와 비공식 평가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진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댓글